구글 바드(Bard) 기초 사용방법 #1 회원가입
[구글 바드(Bard) 200% 활용하기]
구글 바드 사용방법 (초급)
<1편 : 회원가입>
구글 바드(Google Bard)는 구글의 대형 언어 모델(LLM)인 LaMDA와 PaLM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검색 엔진입니다. 최초 출시는 2023년 3월 21일에 미국과 영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2023년 5월 15일에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추가된 안정화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2023년 7월 13일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현재는 총 46개 언어로 이용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다른 인공지능 검색 엔진들에 비해 한국어의 활용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들을 사용하더라도 번역 및 오역에 대한 문제가 적다는 의견이 많으며 별도의 계정을 생성하지 않더라도 기존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기존 구글 검색 엔진을 그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답변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방대하고 정확성이 높으며 무엇보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은 것도 특징입니다.
바드(Bard)가 출시된지는 시간이 조금 흘렀지만 아직은 CHATgpt에 비해 사용자의 수 측면에서 밀리는 듯한 느낌이 있습니다. 비교적 새로운 서비스인 만큼 탄탄한 기본기와 다양한 확장 능력을 가지고 있을 거라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앞으로 바드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연구하며 효율적인 활용방법을 찾아볼까 합니다.
1. 구글 바드(Bard) 회원가입
먼저 구글 바드(Bard)에 접속합니다.
Google Bard - 생성형 AI 챗봇 사이트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된 챗봇 AI 사이트, Google Bard로 혁신적인 생산성을 경험하세요.
bard.google.com
[로그인] 버튼을 눌러서 가지고 있는 구글 계정으로 손쉽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면 메인 화면의 [로그인] 버튼이 [Bard 사용해보기] 버튼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Bard 사용해보기] 버튼을 누르면 이용 약관 및 사용되는 개인 정보와 관련된 내용이 나타납니다.
끝까지 읽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맨 아랫부분까지 읽어보도록 합니다.
조금 귀찮더라도 어떤 개인정보를 어떻게 취급하는지 알아둡시다.
[더보기]를 클릭하여 맨 아랫부분까지 확인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구글 바드의 메인화면으로 넘어왔습니다.
아직은 실험 버전이라는 안내문이 나타나는데 Bard가 항상 정확하지는 않다는 내용과 Bard와 관련된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맨 아래 부분에는 Bard에 관한 이메일 수신 동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데
앞으로도 Bard를 꾸준히 활용할 목적이라면 되도록 체크해 두는 것이 최신 정보를 남들보다 빠르게 받아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여기에 프롬프트 입력'이라고 쓰여 있는 텍스트 박스를 통해 Bard와 대화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Bard의 기본적인 대화방식과 질문에 의한 답변의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해 줘."
라는 프롬프트(질문)를 입력해 보았습니다.
특별한 답변 양식을 요청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잘 정리된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역시 비교적 최근에 시작한 서비스답게 기본적인 틀이 잘 잡혀있는 모습입니다.
CHATgpt와 비교해 보면 3가지의 답안을 동시에 생성해 낸다는 특징이 있으며 오른쪽에 있는 새로고침 버튼을 통해 새로운 답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가지 답변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틀은 비슷한 느낌이었습니다. 내용 및 단어 선택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하나씩 읽어보고 가장 적합한 답변을 선택하면 됩니다.
다만 3가지 답변 모두에 대한 대화를 이어나갈 수는 없고 한 가지 답변을 선택하면 해당 답변에 기반한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현재 서비스되는 대부분의 챗봇(대규모 언어 모델)이 그렇듯이 한글(영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도 마찬가지)로 된 답변의 정확성과 오역 문제를 간단히 체크해 보기 위해서 같은 질문(프롬프트)을 영어로 던져 보았습니다.
답변의 형식에 있어서는 작은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확연히 눈에 띄는 차이점을 꼽자면 콕 집어서 요구하지 않은 도표까지 답변에 포함시켰으며 한글로 된 질문에 비해 훨씬 길고 디테일한 답변을 내놓았다는 점입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베이스 언어가 영어이기 때문에 확실히 한글보다는 영어에 대한 이해도와 답변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보다 높은 퀄리티의 답변을 위해서는 영어로 된 질문을 한 뒤 돌아오는 답변을 한글로 다시 번역하는 것이 좋겠네요.
이번 편에서는 구글 바드(Bard) 기초 사용방법 : 회원가입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기본적인 내용일 수 있지만 아직 Bard를 접하지 못했거나 AI챗봇에 능숙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위해 최대한 쉽게 서술해 보았습니다.
아직 베타 버전인 만큼 다양한 측면에서의 사용법과 활용법을 남들보다 빠르게 연구하고 습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요. 앞으로도 Bard의 구체적인 활용방법과 응용방법, 활용사례들을 가지고 와서 꾸준히 자료를 업로드해보겠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Bard의 구체적인 사용방법 및 효과적인 프롬프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ditor Xavier